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상무지구시즐헤어
- 쌍촌동미용실
- 광주머리잘하는곳
- 루엘헤어
- 일일드라마무료보는곳
- 수목드라마다시보기
- 남자커트잘하는미용실
- 치평동미용실
- 시즐헤어
- 광주남자머리잘하는미용실
- 탑헤어
- 광주남머리잘하는미용실
- 구일맛집
- 구일역맛집
- 광주매직잘하는미용실
- 시노자키아이화보집
- 청수헤어
- 광주서구미용실
- 월화드라마다시보기
- 광주미용실
- 광주남자머리잘하는곳
- 운천호수
- 상무지구미용실
- 광주염색잘하는미용실
- 광주미용실추천
- 광주상무지구미용실
- 상무지구매직잘하는미용실
- 광주염색잘하는곳
- 광주머리잘하는미용실
- 상무지구탑헤어
Archives
- Today
- Total
뱃살지방빼기
준치 본문
준치
크기는 二~三자 정도로 몸은 좁고 높으며, 비늘이 굵고 가시가 많으며 등은 푸르다. 맛이 좋고 시원하다. 곡우(穀雨)가 지난 뒤에 비로소 우이도(牛耳島)에서 잡힌다. 이때부터 점차로 북으로 이동하여 六월이 되면 해서(海西)에 나타난다. 어부들은 이를 쫓아가 잡는다. 그러나 늦게 잡히는 놈은 먼저 잡히는 놈만 못하다. 작은 놈은 크기가 三~四치 정도로 맛이 떨어진다.이 물 고기에 대해서 <이아>(爾雅) 석어(釋魚)에서는, 구(鯦-준치)는 당호(堂號)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곽박(郭璞)의 <이아주소>(爾雅住蔬)에서는 바닷고기로서 병어(鵧魚)를 닮아 비늘이 굵고, 살이 통통하여 맛이 좋으나 가시가 꽤 많다. 지금 강동(江東)에서는 길이가 석 자나 되는 큰 놈이 있는 바, 그런 큰 놈을 당호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유편>(類編)에는, 구(鯦)는 시(時)로 나오기도 하는데, 이 시(時)는 곧 지금의 시어(鰣魚)를 말한다 했고, <집운>(集韻)에는 치()는 시(鰣)와 같다고 했다. 이시진은 「시(鰣)는 모양이 수력하고 납작하며 약간 방어를 닮아 길다. 빛은 흰 색으로 은빛 같다. 고깃살 속에 작은 가시가 많아서 털과 같다.」고 했으며,큰 놈이라고 해도 三자를 넘지 못하는데, 베 아랫쪽에 사각형의 굳은 비늘()이 있어 갑옷과 같으며, 그 비늘껍질 속에 기름이 있다고 했다(<본초강목>(本草綱目)에 나옴). 이것은 곳 요즘에 흔히 불리고 있는 준치어(夋峙魚)이다.또 <역어유해>에는 준치어를 늑어(勒魚), 일명 웅어라고 했다. <본초강목>에는 따로 늑어가 있다고 하면서 시(鰣)를 닮아 머리가 작고, 배 아래 단단한 가시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요즘 흔히 말하는 준치어는 아니다
크기는 二~三자 정도로 몸은 좁고 높으며, 비늘이 굵고 가시가 많으며 등은 푸르다. 맛이 좋고 시원하다. 곡우(穀雨)가 지난 뒤에 비로소 우이도(牛耳島)에서 잡힌다. 이때부터 점차로 북으로 이동하여 六월이 되면 해서(海西)에 나타난다. 어부들은 이를 쫓아가 잡는다. 그러나 늦게 잡히는 놈은 먼저 잡히는 놈만 못하다. 작은 놈은 크기가 三~四치 정도로 맛이 떨어진다.이 물 고기에 대해서 <이아>(爾雅) 석어(釋魚)에서는, 구(鯦-준치)는 당호(堂號)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곽박(郭璞)의 <이아주소>(爾雅住蔬)에서는 바닷고기로서 병어(鵧魚)를 닮아 비늘이 굵고, 살이 통통하여 맛이 좋으나 가시가 꽤 많다. 지금 강동(江東)에서는 길이가 석 자나 되는 큰 놈이 있는 바, 그런 큰 놈을 당호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유편>(類編)에는, 구(鯦)는 시(時)로 나오기도 하는데, 이 시(時)는 곧 지금의 시어(鰣魚)를 말한다 했고, <집운>(集韻)에는 치()는 시(鰣)와 같다고 했다. 이시진은 「시(鰣)는 모양이 수력하고 납작하며 약간 방어를 닮아 길다. 빛은 흰 색으로 은빛 같다. 고깃살 속에 작은 가시가 많아서 털과 같다.」고 했으며,큰 놈이라고 해도 三자를 넘지 못하는데, 베 아랫쪽에 사각형의 굳은 비늘()이 있어 갑옷과 같으며, 그 비늘껍질 속에 기름이 있다고 했다(<본초강목>(本草綱目)에 나옴). 이것은 곳 요즘에 흔히 불리고 있는 준치어(夋峙魚)이다.또 <역어유해>에는 준치어를 늑어(勒魚), 일명 웅어라고 했다. <본초강목>에는 따로 늑어가 있다고 하면서 시(鰣)를 닮아 머리가 작고, 배 아래 단단한 가시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요즘 흔히 말하는 준치어는 아니다
'◈이것 저것◈ > 오만가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갓 (0) | 2018.03.10 |
---|---|
숭어 (0) | 2018.03.09 |
부부사이 봄날을 다시찾는 5가지 방법 (0) | 2018.03.02 |
삶의 힘이 되는 특별한 지혜10가지 (0) | 2018.03.02 |
강원도 캠핑장 노일강캠핑장 (0) | 2018.03.01 |